지구 자기장으로 전기를 만든다고요? 과학자들의 신기한 실험 이야기
여러분, 지구가 자전하고 있다는 사실은 잘 알고 계시죠? 그런데 지구의 회전과 자기장을 활용해 실제로 전기를 만들어낸 실험이 있었다면 믿으시겠어요?
이 실험은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의 물리학자 크리스 치바(Chris Chyba) 박사에 의해 진행됐습니다. 치바 박사님은 지구가 자전하면서 자기장 속을 지나가는 금속 물체에서 아주 약한 전기가 발생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실험으로 검증해보았어요. 처음엔 “이거 혹시 영구기관 아니야?”라는 반응이 나올 정도로 믿기 어려운 이야기였지만, 그는 분명히 지구의 회전 에너지를 활용한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움직이지 않는 실험 장치, 하지만 지구는 계속 돌고 있어요
이 실험에서는 특수한 금속 재질인 망간-아연 페라이트(MnZn Ferrite)로 만든 속이 빈 원통이 사용됐습니다. 이 재료는 전기가 조금만 통하면서도 자기장을 잘 차단하는 특성이 있어요.
비록 실험실에서 원통은 가만히 놓여 있었지만, 지구는 계속 자전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이 원통이 자기장 속을 지나가고 있는 셈이죠. 이 점이 바로 전기를 만들어낼 수 있는 핵심 원리입니다.
실험은 어떻게 진행됐을까요?
치바 박사님은 원통을 북-남 방향으로 놓고, 지면에서 약 57도 기울여 배치했습니다. 왜 하필 57도였을까요? 이는 지구 자기장과 자전 방향이 수직이 되는 각도로, 이때 전기가 가장 많이 생긴다고 해요.
원통의 양 끝에 전극을 붙여 실제로 전기가 생기는지를 측정했는데요, 비교 실험도 함께 진행했습니다. 원통을 90도 돌렸을 때는 전기가 거의 생기지 않았고, 180도 돌렸을 때는 전기가 반대로 생겼습니다.
이 실험을 통해 원통이 특정 방향에 놓였을 때 약 18마이크로볼트(µV)의 전압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했어요. 참고로 1볼트의 백만 분의 1이 마이크로볼트일 만큼, 아주 작은 전기입니다.
그런데 정말 지구 자기장 때문일까요?
이런 실험에서는 시백 효과(Seebeck effect)처럼 외부 요인을 꼼꼼히 배제해야 합니다. 시백 효과란 금속의 한쪽이 더 따뜻할 때 전기가 생기는 현상인데요, 연구팀은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기를 따로 계산해서 제거했습니다.
또 다른 종류의 금속 원통이나 속이 꽉 찬 원통으로 같은 실험을 해본 결과, 전기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이런 점들을 종합해 연구팀은 이번 실험에서 발생한 전기가 정말 지구 자기장을 지나면서 생긴 것이라고 결론지었어요.
다른 과학자들의 반응은?
실험 결과를 접한 과학자들의 반응은 엇갈렸습니다.
융 주(Yong Zhu) 교수는 “아직은 믿기 어렵습니다. 마이크로볼트 수준의 전기는 정전기나 금속 내부의 소용돌이 전류 등 다른 요인으로도 생길 수 있어요”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고,
반면 카를로 로벨리(Carlo Rovelli) 교수는 “매우 흥미로운 실험입니다. 단순히 전하가 자기장 속에서 움직여서 생기는 전기가 아니기에, 기존 이론으로는 설명이 안 될 수도 있어요”라며 새로운 가능성에 주목했습니다.
다음 단계는? 다른 팀이 실험을 재현하는 것!
치바 박사님은 “이제는 다른 연구팀이 실험을 재현해 같은 결과가 나오는지 확인할 차례”라고 밝혔습니다. 만약 다른 팀들도 동일한 결과를 얻는다면, 이 실험을 바탕으로 작은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장치를 만들 수 있을 거예요.
예를 들어, 이런 원통들을 여러 개 연결하면 더 큰 전력을 만들 수 있고, 이는 소형 센서나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결론: 아주 작은 전기지만, 미래에는 큰 가능성!
이번 실험은 아직 완전히 검증된 건 아니지만, 지구의 회전이라는 거대한 에너지원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로운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단 몇 마이크로볼트의 전기일지라도, 지속 가능한 에너지 기술의 한 형태로 발전할 수 있다면 의미 있는 진전이 되겠죠?
앞으로도 이런 과학 이야기를 들을 때는 ‘이게 정말 가능할까?’라는 호기심과 함께, ‘어떻게 실험을 통해 증명할 수 있을까?’라는 과학자의 시선으로 생각해보세요!
📚 용어 정리
- 자기장: 자석이나 전류에 의해 생기는 보이지 않는 힘의 영역
- 마이크로볼트(µV): 1볼트의 백만 분의 1에 해당하는 아주 작은 전압 단위
- 시백 효과(Seebeck effect): 금속의 양 끝에 온도 차이가 있을 때 전기가 생기는 현상
- 정전기 / 에디 전류: 외부 요인이나 금속 내부에서 자연적으로 생길 수 있는 작은 전기 흐름
📖 참고문헌
- C. F. Chyba et al., “Experimental demonstration of electric power generation from Earth’s rotation through its own magnetic field,” Phys. Rev. Res. 7, 013285 (2025).
- J. Jeener, “Comment on ‘Electric power generation from Earth’s rotation through its own magnetic field’,” Phys. Rev. Appl. 13, 028001 (2020).
- B. Veltkamp and R. J. Wijngaarden, “Attempting to extract power from Earth’s rotation: An experimental test,” Phys. Rev. Appl. 10, 054023 (2018).
- C. F. Chyba and K. P. Hand, “Reply to ‘Comment on “Electric power generation from Earth’s rotation through its own magnetic field”’,” Phys. Rev. Appl. 13, 028002 (2020).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 한 방울로 알츠하이머? 혁신 검사 등장 (1) | 2025.04.02 |
---|---|
전쟁이 유전자를 바꾼다 ! (0) | 2025.03.06 |
유전자 조작 생쥐에서 매머드까지? 과학이 다시 쓰는 멸종 복원 프로젝트! (0) | 2025.03.06 |
로봇 산업의 미래 전망: 성장 동향과 유망 기업 분석 (0) | 2025.03.03 |
플라잉 카 : 미래 교통 혁명을 주도할 차세대 이동 수단! (0) | 202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