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요약영상 ☞ https://youtube.com/shorts/4bbYu8HZ4PA
구글은 여전히 돈을 잘 법니다. 하지만 AdSense 퍼블리셔는 점점 더 힘들어지고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Alphabet)은 시장의 기대를 뛰어넘는 실적을 발표하며 다시 한 번 존재감을 드러냈습니다.
검색, 유튜브, 클라우드, AI 등 주요 사업부 전반에서 견고한 성장을 보여줬고, 투자자들에게는 배당과 자사주 매입이라는 확실한 보상도 안겼죠.
하지만 이 화려한 실적의 이면에는 잘 보이지 않는, 그러나 점점 더 커지고 있는 문제도 함께 존재합니다.
바로 수많은 창작자들과 개인 운영자들이 참여하고 있는 AdSense 광고 수익입니다.
📊 2025년 1분기 구글 실적 요약
- 총매출: $902억 (전년 대비 +12%)
- 순이익: $345억 (전년 대비 +46%)
- 주당순이익(EPS): $2.81 (예상치 $2.01보다 크게 상회)
- 전체 광고 수익: $668억 (전년 대비 +8.5%)
- YouTube 광고: $89억
- Search & other 광고: $507억
- 클라우드 매출: $122억 (전년 대비 +28%)
- 마진: 17.8% (전년 9.4%에서 큰 폭 개선)
알파벳은 이번 실적 발표와 함께 700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과 배당금 5% 인상도 발표했습니다.
AI 기반 검색 기능인 AI Overviews는 월간 사용자 수가 15억 명을 넘어서며 성과를 입증했고,
자율주행 부문인 Waymo는 유료 서비스로 주당 25만 회 이상 운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 하지만 불안 요소들도 분명히 존재합니다
AI 경쟁 심화
OpenAI, Perplexity, Bing AI 등 새로운 검색 경쟁자들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구글은 Gemini와 AI Overviews를 중심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점유율 방어는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무역 리스크
트럼프 행정부의 de minimis 무역 면세조항 폐지로 인해,
중국계 광고주인 Temu, Shein 등 주요 고객사들의 광고 집행이 줄어들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실제 구글 CFO는 "2025년 아시아 광고 매출에서 약한 역풍이 예상된다"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 de minimis 무역 면세조항 : 미국으로 들어오는 소액(800달러 이하) 해외 직구 물품에 관세를 면제해주는 규정
반독점 소송 패소
구글은 최근 연방 법원에서 두 건의 반독점 소송에서 패소했습니다.
하나는 검색 독점, 다른 하나는 광고 기술 플랫폼 독점에 대한 판결입니다.
일각에서는 구글이 사업 분할까지 고려해야 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 AdSense, 퍼블리셔 수익은 왜 줄고 있을까요?
구글의 광고 수익은 성장하고 있지만, 그 수익이 AdSense 퍼블리셔들에게 골고루 돌아가고 있진 않습니다.
AdSense는 ‘Google Network Ads’ 항목에 포함되며, 외부 웹사이트나 블로그, 커뮤니티 등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광고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최근 퍼블리셔들 사이에선
“RPM이 계속 떨어진다”, “트래픽은 유지되는데 수익이 줄었다”는 이야기가 많이 들립니다.
그 이유는 꽤 명확합니다.
🔍 수익이 줄어드는 이유들
1. AI 검색이 트래픽을 줄이고 있습니다
구글은 검색 결과 상단에 AI Overviews 기능을 도입했습니다.
사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요약된 AI 답변으로 바로 보기 때문에,
웹사이트로 넘어오는 클릭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 트래픽 감소 → 광고 노출 감소 → 수익 감소
2. 광고 예산 집중 구조
광고주는 ROI가 높은 영역을 우선시합니다.
검색 광고는 구매 전환률이 높고, 유튜브 광고는 브랜드 인지도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광고 예산이 블로그나 일반 웹사이트보다는 이 두 플랫폼에 집중되고 있습니다.
3. 개인정보 보호 강화로 타겟팅 광고 효율 하락
쿠키 차단, 추적 제한 등으로 광고 타겟팅 정확도가 떨어지면서
광고 단가(CPC)도 함께 하락하고 있습니다.
4. AI 생성 콘텐츠 범람
AI 툴을 활용한 자동 콘텐츠가 늘어나면서
콘텐츠의 질이 낮아지고,
그에 따라 광고 단가와 품질 점수도 낮아지는 구조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 퍼블리셔가 지금 할 수 있는 전략은?
✅ 1. 경험 기반 콘텐츠 강화 (E-E-A-T 대응)
EEAT는 "누가, 어떤 정보로, 어떻게 작성했는지"를 평가하는 기준입니다.
특히 AI가 범람하는 시대에는, 진짜 사람의 경험과 전문성이 더 큰 경쟁력이 됩니다.
AI가 따라올 수 없는 실제 경험 기반 콘텐츠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문가 인터뷰, 직접 후기, 과정 설명 등 신뢰성 있는 정보가 핵심입니다.
* EEAT = 경험(Experience), 전문성(Expertise), 권위성(Authoritativeness), 신뢰성(Trustworthiness)
검색 상위 노출과 콘텐츠 신뢰도 확보에 핵심이 되는 구글의 평가 기준이에요.
✅ 2. 사이트 UX와 속도 최적화
광고를 너무 많이 넣기보단, 사이트 속도와 사용자 편의를 높이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Google의 Core Web Vitals를 기준으로 페이지 품질을 점검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 3. 광고 형식 실험
고정형 배너 외에도 네이티브 광고, 인피드 광고, 자동 삽입형 광고 등
다양한 포맷을 테스트해보세요.
✅ 4. 수익 다변화 시도
AdSense 외에도 수익 창구를 만들어야 할 시점입니다.
- 제휴 마케팅 (Affiliate)
- 유료 뉴스레터, 전자책 판매
- 프리미엄 광고 네트워크(Mediavine, Raptive 등)
- Google Ad Manager 활용
🧭 결론: 구글은 잘 벌지만, 퍼블리셔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구글은 여전히 세계 디지털 광고 시장을 지배하고 있지만,
그 생태계는 점점 구글 중심으로 폐쇄적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퍼블리셔 입장에서는 이제 단순히 트래픽만으로 수익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앞으로는 콘텐츠의 신뢰도, 사용자의 경험, 그리고 지속 가능한 수익 모델이 생존 전략이 될 것입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유와 북마크 부탁드립니다.
'경제(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 정치 힘들다! 머스크, 경영 복귀 선언 (2) | 2025.04.23 |
---|---|
2025 미중 무역전쟁, 전자제품 관세 면제…한국·애플·삼성 영향 총정리 (2) | 2025.04.13 |
미중 무역전쟁, 한국기업 앞에 펼쳐진 기회 vs 도전 (2) | 2025.04.10 |
2025 미·중 무역전쟁 전면전, 판이 달라졌다 (2) | 2025.04.10 |
삼성전자 1분기 실적 반등! 핵심 분석과 투자 전략 총정리 (2) | 2025.04.09 |